티스토리 뷰

비쌀수록 더 사고싶다 이것은 베블런 효과!

 

 

일반적으로 가격이 비싸지면 살려는 마음이 사라지기 마련인데요. 그와 반대인 경우도 있습니다. 바로 비쌀수록 잘팔리는 베블런 효과를 말합니다.

 

가격이 오르지만 사람들이 보여주려는 과시욕을 이용한 심리현상 인데요.

미국의 사회학자 베블런이 1899년 "유한계급론"이란 책을 출간했는데요. 여기서 상류층의 두드러진 소비는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해 이루어진다라는 말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대표적으로 명품브랜드를 들 수 있습니다. 샤넬가방 비싸기로 유명한거 아시죠? 어떤 가방은 700만원대를 호가해서 저 진짜 개인적으로 너무 놀랐습니다. 조그만 경차 중고로 살 수 있는 가격이잖아요. 매년 같은 제품의 가격을 몇년이 지나면 조금씩 가격이 인상되는데요.

가격이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수요는 변화없이 계속 잘팔리고 있습니다.

 

어떤 가방은 불티나듯 팔리더라구요. 하다못해 A급 짝퉁도 비싼값에 팔려나가고 있습니다.

나의 부를 과시함으로써 사회적 우위를 증명하려는 심리가 반영된 것 입니다. 그래서 명품브랜드의 경우 가격을 내리거나 세일을 아주 신중히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오히려 가격이 팍팍 떨어지면 사람들이 구매를 기피하게 되니까요.

 

비싼제품 = 좋은 상품 이렇게 인식이 되는것도 참 문제입니다. 

 

 

대형마트와 백화점의 가격이 두배세배 차이나는 것도 이런 소비심리를 이용했다고 생각합니다.

 

요새는 SNS에서 자신의 라이프 스타일을 은근히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묘한 타인과의 경쟁심과, 나의 위치를 드러내고자하는 마음이 경쟁심을 불러입으킵니다. sns는 다 자신이 좋은 모습만 찍기 때문에 그 단편적인 모습만 보고 판단하지 않으시는게 좋습니다.

 

 

물론 자본주의 국가에서 다른사람의 사는거 가지고 비난을 가할 순 없습니다. 개인이 번돈으로 알아서 쓰는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베블렌 효과로 얻는 전체 경제활성화도 되고, 자기 소득수준에서 부담되지 않는 정도라면 오히려 자기만족도 되고 좋은점도 있죠. 삶의 활력도 되고요. 내가 좀더 나은사람처럼 느껴진다면 긍정적인 측면도 많습니다.

스스로가 자신의 소비를 절제하고 자제할 수 있고, 계획된 소비로 고가의 물건을 구매한다면 전 오히려 멋져보이는데요.

 

하지만 경제적인 여유가 없는데 보여주는 식으로 소비가 많아지는것은 문제가 됩니다.

중요한건 내가 이걸 살 수 이씨을만큼 감당할 수 있냐는 거겠죠. 특히 아직 취업을 하지 않은 대학생들이 고가의 명품을 자신이 돈으로 사는게 아니라면, 나의 소비형태를 다시한번 생각을 해봐야 합니다.

 

지인의  경우를 보면 직급은 이제 갓 회사 사원인데 무리하게 최고급 외제차 사고, 갚을때까지 점심 라면때우고, 이런거 보면 과연 누구를 위한 차인가? 란 씁쓸한 생각도 들더라구요.

 

물건을 살때 이게 나에게 맞는 합리적인 가격인가? 나한테 꼭 필요한 물건인가? 를

곰곰히 생각해보고 구매한다면 좋겠지요.

 

비쌀수록 잘팔리는 베블런 효과.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