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성공으로 향하는 일만시간의 법칙을 아시나요?

 

 

한분야의 전문가가 되려면 얼마나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할까요?

많은 연구가들의 필요한 노력을 시간으로 환산한 결과

1만 시간이란 어마어마한 결과가 나왔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생각해보면 1만 시간만 투자하면 누구든지 전문가가

될 수 있다는 논리로 보여집니다.

 

쉽지 않지만 제 주변에 많은 분들이 하루하루 꾸준히 노력하고 계십니다. 저 역시도 도전을 해볼까 하는데요.

 

왜 올한해가 다 저물어가는데 도전하냐고 말하실수 있는데요.

한해동안 뭔가 열심히 한거 같지 않더라구요.

나름 매일매일 최선을 다했지만 뭔가 다 이루진 않은 기분이라서

지금이라도 도전을 해보기로 했습니다.

 

"아웃라이어"의 저자 말콤 글랜드웰이 말한 일만 시간에 대한 법칙을

알아볼까요?

 

 

1만 시간은 대략 하루에 3시간!!

일주일에 스무시간씩 10년간 연습한거와 같다.

 

- 아웃라이어의 저자 말콤 글랜드웰 -  

 

 

전설의 밴드 비틀즈가 유명한 동기부여 예시자인데요.

 

 

이들은 한장의 앨범으로 전세계 스타가 되었지만, 첫 시작은

영국의 작은 마을에서 밴드를 만들었고요. 심지어 이들은 악보를 읽을줄 몰랐다는건데요. 제대로된 연주교육도 받아본적이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늘 멜로디를 흥얼거리며 종이 위에 가사를 쓰곤 했는데요.

매일 12시간 이상의 반복되는 공연과 피나는 연습으로 세계적인 밴드로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제 생각엔 여기에 허점이 있습니다. 타이밍도 중요하다 생각하는데요. 30대에 김연아처럼 훌륭한 피겨스케이터가 된다고 연습하는건

성공할 가능성이 낮습니다. 신체적인 조건이 되야하니까요.

 

김연아는 7살의 어린나이에 점프연습을 시작했으니까요.

 

또 60대의 어르신이 스키강사를 하실 순 없습니다. 물론 하실 순 있겠지만 같은 1만시간을 투자해도 결과가 다를 수 있습니다.

 

 

그만큼 나한테 가능성이 있는 1만시간인가? 이것은 놀랍도록 중요한

나의 선택에 달려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왕이면 나에게 성공가능성이 있는 내가 온전히 몰입하고 즐길 수 있는 1만시간인가? 스스로에게 자문자답을 해보세요.

 

그리고 내가 열정적으로 몰입할 수 있는 일이라면 늦은때는 없습니다.

바로 오늘부터 도전하시길 바랍니다.

댓글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