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분야의 전문가가 되려면 얼마나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할까요?
많은 연구가들의 필요한 노력을 시간으로 환산한 결과
1만 시간이란 어마어마한 결과가 나왔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생각해보면 1만 시간만 투자하면 누구든지 전문가가
될 수 있다는 논리로 보여집니다.
쉽지 않지만 제 주변에 많은 분들이 하루하루 꾸준히 노력하고 계십니다. 저 역시도 도전을 해볼까 하는데요.
왜 올한해가 다 저물어가는데 도전하냐고 말하실수 있는데요.
한해동안 뭔가 열심히 한거 같지 않더라구요.
나름 매일매일 최선을 다했지만 뭔가 다 이루진 않은 기분이라서
지금이라도 도전을 해보기로 했습니다.
"아웃라이어"의 저자 말콤 글랜드웰이 말한 일만 시간에 대한 법칙을
알아볼까요?
1만 시간은 대략 하루에 3시간!!
일주일에 스무시간씩 10년간 연습한거와 같다.
- 아웃라이어의 저자 말콤 글랜드웰 -
전설의 밴드 비틀즈가 유명한 동기부여 예시자인데요.
이들은 한장의 앨범으로 전세계 스타가 되었지만, 첫 시작은
영국의 작은 마을에서 밴드를 만들었고요. 심지어 이들은 악보를 읽을줄 몰랐다는건데요. 제대로된 연주교육도 받아본적이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늘 멜로디를 흥얼거리며 종이 위에 가사를 쓰곤 했는데요.
매일 12시간 이상의 반복되는 공연과 피나는 연습으로 세계적인 밴드로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제 생각엔 여기에 허점이 있습니다. 타이밍도 중요하다 생각하는데요. 30대에 김연아처럼 훌륭한 피겨스케이터가 된다고 연습하는건
성공할 가능성이 낮습니다. 신체적인 조건이 되야하니까요.
김연아는 7살의 어린나이에 점프연습을 시작했으니까요.
또 60대의 어르신이 스키강사를 하실 순 없습니다. 물론 하실 순 있겠지만 같은 1만시간을 투자해도 결과가 다를 수 있습니다.
그만큼 나한테 가능성이 있는 1만시간인가? 이것은 놀랍도록 중요한
나의 선택에 달려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왕이면 나에게 성공가능성이 있는 내가 온전히 몰입하고 즐길 수 있는 1만시간인가? 스스로에게 자문자답을 해보세요.
그리고 내가 열정적으로 몰입할 수 있는 일이라면 늦은때는 없습니다.
바로 오늘부터 도전하시길 바랍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맹맹이 소리 대처법 알아보기 (0) | 2017.11.07 |
---|---|
고춧가루 보관방법 (0) | 2017.11.06 |
새치나는 이유 알아보기 (0) | 2017.11.03 |
아시아나 국제선 수화물 규정 알아봐요 (0) | 2017.11.01 |
코스트코 스테이크 맛있게 굽는법 (0) | 2017.10.21 |